본문 바로가기
세상 사는 경제 이야기

세계 경제 미국 채권을 보면 경기 둔화로 가는 중?

by 줄그결 2022. 3. 30.
반응형

채권 시장 변동성 확대

 

 

세계 최대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에서 경기 둔화에 대한 경고 신호가 채권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국채 수익률 곡선의 일부가 역전되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2년 만기 국채 수익률보다 낮아지려 하고 있다. 미국 경기 침체에 대비해야 할 수 있다고 복수의 미국 경제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다. 1980년대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금리 인상을 20%까지 올려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응하였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지금 종료된다 해도 원료 공급망 이슈가 멈출 수 있을지 알 수가 없다.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서 국채 수익률이 높아지고 있다. 

 

 

 

장기국채와 단기국채 스프레드 축소... 역전?


전 세계 국채의 10년 물 및 30년 물 등 장기국채가 2년 및 5년 만기 단기 국채 대비 이율이 떨어질 경우 두 국채의 스프레드로 이윤을 얻고 있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와 같은 대형 은행이 부실화될 수 있어 장기 경기 침체로 가는 것이 아닌가 우려하는 목소리도 매우 많다. 세계 각국 정부를 비롯한 모든 경제 주체가 매우 우려하고 있으며, 모든 이목이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에 쏠려 있다. 차기 금리 인상이 얼마나 커질지 우려가 높다.

 

 

 

Why traders think the US economy is about to go into reverse

A warning sign for the world’s biggest economy is flashing on the dashboard of bond markets.

finance.yahoo.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