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용산 청파동과 마포구 공덕동 일대가 보행 및 녹지, 교통체계, 그리고 경관 등이 모두 유기적으로 연계된 하나의 도시로 통합 개발되는 계획이 나왔다. 인접한 3개의 신통기획 대상지가 하나의 도시로 통합 개발되는 그림으로 총 4100 가구가 조성되는 신속통합기획의 확정된 내용을 소개한다.
신속통합기획의 통합적인 계획안
서울시의 용산구와 마푸구 경계 맞닿아 있는 서울역 서쪽의 청파로와 만리재로 변에 인접한 3곳에서 신속통합기획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그러한 상황을 더욱 원활하게 활용하는 방안으로 서울시는 18일 이곳에 통합적인 계획안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상지는 청파동 1가 89-18 일대와 공덕동 11-24 일대, 115-97 일대로 총 4100 가구 규모의 주거단지로 변경될 예정이다. 서울시가 추구하는 도시와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개발 방식이 적용될 계획으로 구릉지형 도심 주거단지로 변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세부 계획안
청파동 1가 89-18
청파동 1가 89-18 일대는 노후주택 비율이 70%에 달하는 낙후된 지역이다. 주거환경이 열악한 이 곳은 최고 단차가 60m에 달해 보행 연계 및 차량 접근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공원도 없고 생활 SOC 등 기반 시설도 열악하다. 이곳에 서울시는 용도지역을 제2종 주거지역으로 상향해서 이곳은 최고 25층 1900 가구 안팎으로 개발된다.
경사지의 특성을 고려해서 데크형 대지 조성 등 지형 순응형 계획을 수립한다. 구릉지의 좁은 도로를 완만한 유선형의 도로로 바꾸고 청파초등학교-대상지-배문중고등학교로 연결된 통학로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런 통학로 조성으로 자연스럽게 초품아 단지가 만들어지게 된다.
대상지 남쪽에는 동서를 잇는 선형공원인 푸른언덕길 공원이 생겨서 남산으로 이어지는 통경축이 확보되고 남산이 보이는 자연친화적인 주거지가 형성되도록 한다. 공원과 연계된 주민공동시설 및 개방형 시설을 배치함으로 주민의 편의성을 높이고 지역이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남산 및 선형 공원, 그리고 학교 등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해 남산 조망 세대 및 테라스 하우스 다양한 특화된 디자인 계획으로 단지마다의 색다른 부가가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산이다.
공덕동 11-24
만리재로와 접한 구릉지로 표고차 45m 이상의 경사 지형이다. 당연히 보행환경이 열악하고 특히 만리재로변 옹벽으로 인해 주변과 단절된 지역이다. 그러기에 서울시는 공덕동 11-24 일대 만리재로를 따라 설치된 옹벽을 없애고, 열린 단지로 새롭게 조성한다는 설명이다. 이곳에는 최고 30층 1530 가구 정도로 주거단지가 생긴다. 단지 주출입구 및 가로변에 근생시설을 배치해 만리재로를 활성화하고 공공보행통로와 연결해서 많은 이가 드나드는 활기찬 지역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특별히 단지 안에 경사로와 계단,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서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사회적 약자를 위해 물리적 장애가 없는) 단지를 구상하고 있다. 또한 시는 청파동 가로공원과 연계한 공원을 새롭게 조성하고 문화, 체육시설, 근린생활시설, 부대복리시설 등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공용의 커뮤니티 시설을 만들 계획이다.
공덕동 115-97
만리재길과 만리재옛길로 둘러싸인 공덕동 115-97 일대는 신속통합기획 패스트트랙으로 추진한 첫번째 재개발 사업지이다. 이곳은 만리재길과 만리재옛길로 둘러싸인 삼각형 모양의 부지로 이곳 또한 경사지형이다. 마찬가지로 지형순응단지의 모습으로 최고 25층 680 가구 정도의 규모로 개발될 예정이다. 만리재로변으로 접근과 보행이 불편한 상황이므로 연접한 공덕동 11-24 일대와 공덕 1 구역의 공공보행통로를 연계해서 안전한 보행통로를 만들 계획이다. 기존에 있었던 주민센터와 119 소방안전센터 등 공공시설의 위치를 재배치해서 지역주민의 생활편의성도 챙긴다.
서울시는 이 3곳의 정비계획이 올해 안으로 결정되고, 사업 시간도 신속통합기획이니만큼 대폭적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역과 남산의 경관 등 도시와 자연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지형과 자연 친화적 개발 방식이 기대된다.
이렇게 개별 단지 및 자치구 차원을 넘어서서 시가 통합적으로 지역을 묶어서 개발하는 개발 형식이 현재 오세훈 서울시장의 개발 계획의 한 방식임을 잊지 말고 서울시의 개발 계획 청사진을 예측해야 할 것이다. 주거환경 개선을 넘어서서 주변을 고려한 생활 인프라도 확충함으로써 주변 지역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도 많은 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도와 주는 개발 방식이 실제 어떻게 적용될지 궁금해진다.
개별 단지 차원을 넘어 지역과의 연계와 통합을 지향하는 신속통합기획의 취지에 맞는 대표적인 사례가 이 곳이 될 것 같다.
'부동산 문제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반써밋 파크에디션 (2) | 2023.07.20 |
---|---|
포레나 인천학익 (3) | 2023.07.19 |
영종도 국가 반도체 특화단지와 경제 활성화 (2) | 2023.07.19 |
7월 분양 예정 아파트 단지 (4) | 2023.07.14 |
전세 보증보험 강화 (2) | 2023.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