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문제 해결

아직도 강남이 최고 비싸다 그러나 그곳도 절대적인 가격은 내렸다.

by 줄그결 2023. 9. 14.
반응형

재산세가 나왔다. 강남이 역시 제일 비싸다.

서울시가 올해도 가장 많은 재산세를 확정했다

서울시가 올해 9월분 토지 및 주택(1/2)에 대한 재산세 422만건, 4조 806억원을 확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4441억원 감소한 금액으로, 납세자의 세 부담이 완화됐다.

 



재산세는 과세기준일인 매년 6월 1일 현재 과세물건 소유자에게 7월과 9월에 부과된다. 7월에 주택(1/2), 건축물, 항공기, 선박에 대해 부과하고, 9월에 토지와 나머지 주택(1/2)에 대해 부과한다. 이번 9월에 부과한 재산세는 토지와 주택분(1/2)으로 지난해 9월 보다 3만건 증가했으나, 4441억 원(9.8%)이 감소했다.

토지분(상업건물 부속토지 등)은 78만2000건에 2조64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만1000건 증가했으나, 세액은 1541억원 감소했다. 주택분은 34만43000건에 1조4311억원으로, 전년 대비 2만건 늘었으나 세액은 2900억원 줄었다. 시는 “재산세 과세표준이 되는 개별공시지가가 5.5% 하락했고 주택공시가격은 공동주택 17.3%, 개별주택 7.4%로 각각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순위 구청 재산세 점유비
1 강남 9087억 22.3
2 서초 4861억 11.9
3 송파 3435억 8.4
4 중구 2393억 5.9
5 영등포 1938억 4.7

 

 

세 부담이 경감 됐다.

올해 공시가격 산정 시 2020년 수준 현실화율 적용 등으로 공시가격 변동률이 전년 대비 대폭 하락했고 1세대 1주택자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완화(주택공시가격 3억 이하는 43%, 3억 초과 6억 이하는 44%, 6억 초과는 45%) 적용하면서 주택공시가격 9억원 이하 보유자에게는 0.05%포인트 인하하는 특례세율까지 추가 적용해 실질적인 세 부담이 경감됐다.

 

이번 9월분 재산세 자치구별 부과현황을 보면, 강남구가 9087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초구 4861억원, 송파구 3435원 순이다. 시는 이같은 자치구별 재산세의 세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징수하는 재산세 중 1조6782억원을 ‘공동재산세’로 편성해 재산세 납기가 끝나는 다음 달 말에 25개 자치구에 균등하게 배분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달 11일 9월분 재산세 납세자를 대상으로 고지서를 발송했다. 납부 기한은 10월 4일까지다. 납부 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그래도 절대적인 가격도 빠졌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강남도 절대적인 가격 자체가 빠졌다.

세 부담이 적다고 뛰어들 부동산 시장의 환경이 아니다.

반드시 강남 가고 싶으면 공부하고 또 공부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