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기사가 참 재밌다.
3년 뒤에는 더 큰 폭풍같은 아파트값 상승이 온다는 것이다.
3년 뒤에는 집값이 무섭게 오를 듯
미분양 주택이 점차 큰 폭으로 해소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이를 오히려 부정적인 신호로 평가하고 있다. 시장이 향후 ‘신규 분양주택 부족’을 전망하면서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 예측, 미분양 물건이라도 사들이고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주택은 7월말 기준 6만3087가구로, 5개월째 감소세다. 특히 7월의 미분양 감소폭(-5.0%)은 미분양 주택이 감소세로 전환한 3월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주인을 찾지 못하던 미분양 아파트들이 빠른 속도로 팔리고 있는 셈이다. 기존 주택 매매량이 최근 두 달 연속 감소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주택수요가 기존주택보다는 미분양을 포함한 신규분양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해석이다.
3년 뒤 인허가는 훨씬 줄어들 것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인허가, 착공 등 주택공급의 선행지표들이 워낙 부진하다”며 “이는 향후 주택공급이 크게 부족해질 것이란 신호다. 가격이 급등하기 전 미분양이라도 신축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토부가 이날 발표한 주택 인허가·착공 실적은 처참한 수준이다. 올 들어 7월까지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20만727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9.9%(8만8577) 적다. 착공은 5만3968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 실적(22만3082가구)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주택 인허가·착공은 주택공급의 선행지표다. 실제 입주가 이뤄지는 2~3년 뒤엔 공급물량 부족에 따라 집값 급등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주택 수요가 가장 큰 서울의 경우 착공실적은 1만3726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68% 줄었다.
규모가 다른 집값 상승 올 듯
모자란 크기가 너무 커 보인다.
그러나 집값의 엄청난 폭락 후에 오를 듯
집에 대한 수요가 적다.
이유는 이미 살 사람들은 다 샀기 때문이다.
재개발에 따른 전세 수요 또는 이사 수요가 요즘 보일 뿐 큰 상승 곡선을 만들지는 못하고 있다.

투자자로서의 매력은 적다
투자다로서 사울 집은 너무 늘고 있다. 그래서 지금 투자는 꺼려진다.
외국인들의 부동산 투자 제한 집값 폭락의 기폭제 될 듯
문재인 정부 시절 외국인의 아파트 소유를 권장했었다. 일부 국민들은 중국인 특혜로 받아 들였다.
그런데 그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어 집값 폭락은 자명하다.
외국인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손절한다.
대한민국 화폐가치가 낮아 더 투자할 매력도 없다.
주관 없이 집사는 것은 자살행위
집을 살 때 제일 먼저 봐야할 것은 가격이다. 자신이 살 수 있는 지를 봐야 한다. 둘째 감당할 수 있는 부채 범위인지를 봐야 한다. 그래야 파산하지 않는다. 세상일은 내 마음대로 흐르지 않는다. 명심하자.
그래서 내가 집을 살 때는 반드시 주관이 필요하다.
'부동산 문제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집값 16주 연속 상승.. 그러나 상승폭이 둔화 되다 (2) | 2023.09.08 |
---|---|
동작구 상도동 대우건설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 6~15:1의 분양 경쟁률 무섭다 그러나 전철역 멀고 주변의 낙후성이 있다 (1) | 2023.09.04 |
목동 6단지의 위치를 아는가? 50층이 되면 벌어질 일 (1) | 2023.08.31 |
어디가 반포의 대장이 될 것인가? 대장이 된 아크로리버파크 (1) | 2023.08.28 |
인천 중구 영종도, 연수구 송도 전세가 꿈틀 = 데드캣 바운드 절대 속지 말자 (2) | 2023.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