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은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3년에는 금리 인상, 대출 규제 강화, 주택 공급 확대 등의 영향으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급감하고, 집값이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2024년에도 이러한 하락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선, 금리 인상은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한국은행은 2023년 8월부터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네 차례 인상하여 현재 2.25%까지 올렸습니다. 금리 인상은 대출 이자 부담을 증가시켜 수요를 위축시킵니다.
대출 규제 강화도 수요 위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3년 7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강화하여,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제한했습니다. 또한, 9월부터는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6개월 내 주택 매매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규제를 도입했습니다. 이러한 대출 규제는 수요자들의 대출 접근성을 제한하여, 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을 감소시킵니다.
주택 공급 확대도 하락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2년 12월 발표한 '제1차 수도권 주택공급계획'을 통해 2025년까지 56만호의 신규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공급 확대는 수요 대비 공급이 늘어나면서,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하락세가 지속된다고 해서 모든 지역에서 집값이 하락하는 것은 아닙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일부 지역은 여전히 수요가 많아, 집값이 안정세를 유지하거나 소폭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지방의 일부 지역은 인구 유출과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집값이 하락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2024년 부동산 시장에서 투자를 고려하는 경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세상 사는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헉] 수원역 환승센터 버스 사고 원인 기사 "브레이크 대신 악셀 밟아" (0) | 2023.12.23 |
---|---|
[기록] 대한민국 폭설 눈 최대 적설량은? (0) | 2023.12.21 |
구글이 밝힌 2023년의 검색어 (0) | 2023.12.20 |
연말에 IRP 통장에 1000만원을 넣어야 하는 이유는? (0) | 2023.12.14 |
상속세를 절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0) | 2023.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