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문제 해결

`철근 누락` LH, 외주업체 유착 의혹 관련 압수수색 이제야 합니다.

by 줄그결 2023. 11. 14.
반응형

경찰이 외주업체 선정에서 특혜를 준 의혹과 관련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섰습니다.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14일 오전부터 경남 진주 LH 본사와 경기도 소재 외주업체 사무실, LH 직원 주거지 등 5곳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네요.ㅠㅠ

경찰은 LH 직원 2명이 하도급 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특정 외주업체에 혜택을 준 것으로 보고 제3자 뇌물수수 혐의로 추가 입건했는데, 과연 이들만일까요?

경찰은 LH가 발주한 수서 지역 아파트 철근 누락 건을 수사하던 중 이 같은 혐의를 추가로 발견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하네요.

서울경찰청은 지난 8월에도 경남 진주 LH 본사와 설계·감리 업체 사무실 등 7곳을 압수수색한 바 있지만, 잘 할 수 있을까요?

경찰 관계자는 "기존에 건축법 등으로 입건된 7명 외에 이번엔 추가로 특정 업체에 대한 유착 의혹이 확인돼 압수수색을 하는 것"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LH공사 압수수색과 대책

 

철근 누락 사건을 아시나요?

2023년 4월 28일, 인천 검단신도시의 한 LH공사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지하주차장 기둥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작업자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사고 원인을 조사한 결과, 지하주차장 기둥의 전단보강근이 누락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전단보강근은 지하주차장 기둥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철근입니다. 전단보강근이 누락되면 지하주차장 기둥의 휨이 심해져 붕괴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 사건 이후 LH공사는 전국의 LH아파트 단지 중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지하주차장 기둥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102개 단지 중 20개 단지에서 철근 누락이 적발되었습니다.

철근 누락은 LH공사의 부실시공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LH공사는 건설 과정에서 철근을 절감하기 위해 설계 도면을 위조하고, 시공 과정에서 철근을 누락하는 등의 부실시공을 저질렀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LH공사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커졌습니다. LH공사는 사과하고 책임자를 문책하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지만, 국민들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건설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대표적인 대책으로는 건설사의 부실시공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LH공사 철근 누락 사건은 건설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건설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건설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LH공사에서 짓는 아파트에서 하자는 없었나요?

LH공사에서 짓는 아파트에서 하자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LH공사 아파트에서 발생한 하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LH공사의 부실시공으로 인한 하자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인천 검단신도시의 철근 누락 사건이 있습니다. 이 사건 외에도 LH공사 아파트에서는 벽체 누수, 바닥 균열, 단열 불량 등의 하자가 꾸준히 발생해 왔습니다.

두 번째는 LH공사의 관리 부실로 인한 하자입니다. LH공사는 아파트의 건설뿐만 아니라 입주 후의 관리도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LH공사는 입주자들의 하자 신고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하자 보수에 소홀한 등의 문제로 지적받아 왔습니다.

LH공사 아파트의 하자 문제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LH공사 철근 누락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LH공사는 하자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LH공사는 철근 누락 사건 이후 전국의 LH아파트 단지에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적발된 하자에 대한 보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입주민들의 하자 신고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등 하자 문제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LH공사에 대한 경찰의 수사 내용을 믿을 수 있을까요?

LH공사에 대한 경찰의 수사 내용을 믿을 수 있는지 여부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첫째, 경찰의 수사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했는지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경찰은 LH공사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사를 진행하면서, 증거를 조작하거나 압력을 행사하는 등의 부당한 행위를 하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둘째, 경찰의 수사 결과가 객관적이고 합리적인지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경찰은 LH공사의 부실시공과 하자 문제의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고, 관련자들을 엄중히 처벌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셋째, 경찰의 수사 결과가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지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민들은 LH공사의 부실시공과 하자 문제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따라서 경찰의 수사 결과는 국민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현재까지의 경찰 수사 결과를 보면, LH공사의 부실시공과 하자 문제의 원인이 밝혀지고, 관련자들이 적발되는 등 긍정적인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수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최종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경찰의 수사 결과가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수준이라면, 국민들의 불신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찰은 LH공사에 대한 수사를 철저하고 신중하게 진행하여,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 LH공사 아파트로 이사가는 것은 괜찮을까요?

앞으로 LH공사 아파트로 이사가는 것이 괜찮은지 여부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첫째, LH공사의 하자 문제 개선 노력이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LH공사는 철근 누락 사건 이후 하자 문제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LH공사 아파트에서 하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하자 문제 개선 노력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LH공사의 재발 방지 대책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LH공사는 하자 재발 방지를 위해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입주민들의 하자 신고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이 실제적으로 하자 재발을 막을 수 있는지 여부는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셋째, LH공사 아파트의 가격과 입지 여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LH공사 아파트는 정부의 주거 안정 정책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또한, LH공사 아파트는 대부분 서울과 수도권 등 주요 도시에 위치하고 있어 입지 여건이 좋은 편입니다. 따라서 LH공사 아파트의 가격과 입지 여건을 고려하여, 이사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적으로, 앞으로 LH공사 아파트로 이사가는 것이 괜찮은지 여부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LH공사의 하자 문제 개선 노력과 재발 방지 대책, LH공사 아파트의 가격과 입지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LH공사 아파트로 이사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입주 전, LH공사 아파트의 하자 현황을 확인합니다. LH공사는 전국의 LH아파트 단지에서 하자 현황을 조사하여,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 입주 후, 하자가 발견되면 즉시 LH공사에 신고합니다. LH공사는 입주민들의 하자 신고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하자 신고 접수 창구를 확대하고, 하자 보수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LH공사 아파트는 저렴한 가격과 좋은 입지 여건을 갖춘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LH공사의 부실시공과 하자 문제로 인해 국민들의 불신이 커진 만큼, 이사하기 전에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LH 공사 아파트 서민 아파트이기 때문에 반드시 시정하고 잘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을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이 서민들이 사는 아파트에 대한 문제다.

돈이 없는 이들이 겨우 몸 누이고 식사하고 쉬는 공간이기 때문에 정부는 이들의 주거지를 철저히 파악하고, 하자 여부 그리고 하자 발생 원인을 분석해 줘야 한다.

대부분 박봉에 긴 노동시간을 견뎌야 하는 맞벌이들이 대부분인 서민의 삶 속에서 무슨 일이 발생했을 때 경찰에 신고할 시간 조차 없는 서민들을 불쌍히 여겨야 한다.

반드시 경찰은 이 모든 일을 잘 처리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