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 사는 경제 이야기

노인과 장애인 모두를 위한 의료‧돌봄 통합지원, 2026년 전국 시행!

by 줄그결 2025. 1. 28.
반응형

노인들에게만 적용되던 의료 돌봄 통합지원이 이제 2026년 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지금부터 미리미러 신청해야 26년 해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준비하세요. 129로 전화해서 알아보세요.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노인과 장애인 모두를 위한 의료‧돌봄 통합지원, 2026년 전국 시행!

"집에서 편안하게, 의료와 돌봄을 한 번에!"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러운 사고로 몸이 불편해지면,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도움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병원에 가는 것부터 시작해서, 필요한 서비스를 찾고, 각 기관에 연락하는 일련의 과정들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분들에게는 더욱 큰 어려움으로 다가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모든 국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는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6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될 이 사업은, 시‧군‧구가 중심이 되어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의료‧돌봄 통합지원, 무엇이 달라지나요?

  1. 원스톱 서비스:
    • 지금까지는 병원, 요양시설, 복지관 등 여러 기관을 따로따로 방문해야 했지만, 이제는 시‧군‧구에 신청하면 필요한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받고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복잡한 절차 없이 집에서 편안하게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1. 맞춤형 서비스:
    • 개인별 건강 상태와 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꼭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합니다.
    • **'통합판정조사'**를 통해 의료, 요양,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를 연계해줍니다.
    • 예를 들어, 병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병원 진료를, 집에서 요양이 필요한 경우에는 방문 요양 서비스를, 가사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사 도우미를 연결해주는 식입니다. 
    •  
  2. 대상자 확대:
    • 기존에는 주로 노인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했지만, 2025년부터는 장애인도 포함됩니다.
    • 고령 장애인의 경우,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장애인 건강주치의, 장애인 응급 안전 알림 서비스 등 장애인 특화 서비스도 함께 제공될 예정입니다.

사업 추진 현황

  • 2023년 1월: 보건복지부 내에 **'통합돌봄추진단'**을 신설하여 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2023년 7월: 전국 47개 시‧군‧구에서 노인 대상 시범사업을 시작했습니다.
  • 2024년 1월: '제6차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추진단' 회의를 개최하여, 2025년 시범사업 추진 방안 및 2026년 본 사업 시행 준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 2025년: 장애인을 포함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통합판정조사를 도입하여 서비스 효과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 2026년 3월 27일: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 전국 시행!

기대 효과

  • 의료비 절감: 불필요한 입원이나 시설 입소를 예방하고, 재가 서비스를 강화하여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삶의 질 향상: 살던 곳에서 편안하게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돌봄 사각지대 해소: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을 통해,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