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월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로 목돈 마련의 기회 잡기

by 줄그결 2023. 6. 1.
반응형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세상이다. 그 자유로 가는 길에 꼭 필요한 시드머니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청년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 6월에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가 그것이다. 윤 대통령의 청년들을 위한 공약이었던 10년 만기 1억 원 저축 상품의 내용을 수정해서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탄생했다. 

 

 

 

 

청년도약계좌의 내용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자산 증식 상품이다. 

월 70만원까지 납입가능하고, 70만 원씩 매달 5년 동안 납입했을 때 만기 시 5000만 원의 돈을 만들 수 있다. 

매달 70만원을 5년간 저축하면 원금이 4천2백만 원이니 나머지 800만 원을 정부가 세수로 지원해 주는 셈이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대상

 

청년도약계좌는 연령 조건이 만 19세~ 34세로 정해졌다. 2023년 기준으로 2004년~1989년생이 가입 가능하다. 병역이행을 한 경우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고 그만큼 기간이 늘어난다. 

 

그리고 가입 소득 조건이 있는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포함한 연간 개인소득이 7500만원 이하면서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해야 한다. 

아래 2023년 중위 소득 180% 기준 소득표를 참고하면 된다.

 

가구원 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월 소득 374만 205원 622만 1,079원 798만 2,668 972만 1,735

 

 

 

 

아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에서 Q&A로 알아보는 청년도약계좌로 상세히 알아보세요.

청년도약계좌 상세 질문 사이트

 

 

청년도약계좌 혜택 및 가입 전 확인해야 할 유의사항

 

이자소득은 전액 비과세이다.

 

그리고 개인소득이 6000만원 이하인 경우 소득 수준과 월 납입액에 따라서 정부가 최대 월 2만 4000원을 기여금 형태로 추가 지원해 주는 혜택이 있다. 즉 5년간 원금에 대한 은행이 주는 이자와 더불어 정부가 주는 기여금이 합쳐져 원금이 빨리 불어날 뿐 아니라 만기 시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고 원금과 이자 전액을 다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원래 통상적으로 금융 상품에 적용되는 이자 세금 15.4%를 비과세 받고 정부가 주는 최대 6%의 기여금까지 하면 20%가 넘는 금리 혜택으로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전액 비과세 혜택은 연소득 6000만 원 이하의 청년에게 해당되고 그 이상의 연 소득 청년에게는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가 적용된다. 

 

또한 만기가 5년으로 비교적 길기 때문에 적금 중도 해약 가능성이 높은 것을 고려해 적금담보대출을 운용한다. 적금의 금리가 높아서 대출 금리도 높을 수밖에 없지만 은행권에서는 통상 1.0%~1.5%포인트에 달하는 일반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보다 낮은 가산금리를 적용하려고 검토 중이다. 

 

마지막으로 개인소득 2400만원 이하 청년에게는 저소득층 우대금리를 부여한다고 한다. 

 

 

 

 

 

 

 

이렇게 파격적인 혜택을 가진 청년도약계좌이지만 가입 전에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다.

 

5년동안 해지 하지 않고 완납할 수 있는지 체크해야 한다. 완납을 하지 못하면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가입 의미가 없다. 5년이란 긴 시간 동안 목돈을 쓰지 않고 잘 묵혀 둘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소득 6천만원이 넘을 시에는 정부 지원금을 못 받을 수 있다. 월 70만 원씩 5년간 꼬박 저금했지만 월 소득이 6천만 원을 초과할 시에는 정부의 지원금인 기여금은 받지 못하고 비과세 혜택만 받으므로 5000만 원을 만기 시에 받을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청년도약계좌는 8일에 은행 간 금리 차를 조정해서 12일에 최종 금리가 공시될 예정이니 잘 확인해 보고 좋은 혜택으로 목돈을 마련하면 좋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